IOC 2020 도코올림픽 연기 가능성 확대와 일본 내부상황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응책으로 2020 도쿄올림픽 연기 문제를 공식적으로 논의키로 했지만 일본 내의 성화 봉송은 예정대로 오는 26일 시작됩니다. 하지만 이와 관련, 일본 공영 NHK 방송은 "연기 방안을 포함한 IOC의 검토가 한 달 정도 진행되는데, 만일 연기로 결정될 경우 일단 시작한 성화 봉송을 어떻게 할지가 큰 과제로 떠올랐다"라고 전했습니다.
그리고 IOC측은 22일(현지시간) 긴급 집행위원회를 연 뒤 내놓은 성명에서 도쿄올림픽을 연기하는 시나리오를 포함한 세부적 논의를 4주 안에 마무리한다는 입장입니다.
도널드 트럼프의 올림픽 연기 언급
도쿄 올림픽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개인적인 생각이라는 점을 강요했지만 도쿄 올림픽을 1년 정도 연기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대안은 무관중으로 올림픽을 치르는 것보다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현지시각 13일 하시모토 세이코 도쿄올림픽 담당상은 현재 취소나 연기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일축했습니다.
불참선언 국가
1. 캐나다
한국시간 23일에 캐나다가 2020년 도쿄올림픽과 패럴림픽에 불참하겠다고 공신적으로 발표했습니다. 캐나다올림픽위원회(COC)와 패럴림픽위원회(CPC)는 이날 성명을 내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세계 보건기구(WHO)에 도쿄올림픽·패럴림픽 1년 연기를 긴급하게 요청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연기도 코로나19가 진정이 된다는 전제 조건하에 요청하는 것이고 사태가 지속되면 참가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2. 호주
호주도 역시 이러한 상황에서는 정삭적으로 개최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1년 연기해서 2021년에 올핌픽을 개최해야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3. 뉴질랜드
호주에 이어 뉴질랜드도 선수들의 안전이 보장 되지 않고 코로나19가 진정되지 않으면 참가가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아베 신조의 반응
아베 신조 총리도 도쿄올림픽 연기 가능성을 최초로 언급을 하면서 IOC측의 결정을 기다려봐야 된다고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IOC가 최종 판단을 내리겠지만 취소는 선택지 중에 없다고 말하면서 올림픽 전면 취소의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한편 일본 언론에서도 여름올림픽은 1916년 베를린대회, 1940년 도쿄대회, 1944년 런던 대회가 취소됐던 전례가 있지만 모두 전쟁이 원인이었고, 감염병으로 취소된 경우는 없었다고 언급하며 연기된 사례는 한 차례도 없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만큼 도쿄올림픽이 실제 연기되면 그동안 도쿄올림픽을 ‘부흥올림픽’으로 규정하고 역량을 총동원했던 일본 아베 총리에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래에 아베가 올림픽을 취소하지 않으려는 이유를 자세하게 다뤘으니 참고바랍니다.
https://yhj1826.tistory.com/50
일본이 2020년 도쿄올림픽 취소 못하는 이유
14일 NHK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 오후 6시 총리 관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0 도쿄 올림픽을 예정대로 개최하는 것이 가능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협력해 코로나19 확산을 막고 올..
yhj1826.tistory.com
일본 내부 반응
일본 경제지 머니 보이스에서는 이미 올림픽 개최 중지가 결정이 됐는데 올림픽 취소 사실을 현시점에 공표를 하면 패닉 상태에 빠질 수 있어 아베 총리가 발표를 주저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그리고 일본 국민들 500여 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의 62%가 개최를 연기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물론 전체 표본이 낮아 오차가 있을 수 있지만 아예 무시할 수도 없는 통계치입니다.
'글로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및 주요인사 코로나19 확진 판정으로 충격인 영국 (6) | 2020.03.28 |
---|---|
국제유가 하락 전망과 세계증시 시장의 방향성 (11) | 2020.03.27 |
한국형 드라이브 스루와 워킹스루 선별 진료소 해외반응 (13) | 2020.03.19 |
각국의 코로나 백신 개발 경쟁 현황 (11) | 2020.03.19 |
오래사용 가능한 나노마스크 상용화 임박 (16) | 2020.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