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및 교육34

마이크로소프트 블리자드 인수 배경, 목적, 가능성 작년 1월 마이크로소프느(MS)가 게임회사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한다고 밝혔습니다. 많은 히트 게임을 출시한 블리자드는 시가총액이 약 90조 수준인데 이러한 빅딜이 성사되면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인수의 배경과 목적 및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수 배경 및 목적 점점 확대되고 있는 게임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배경이 표면적입니다. 콘솔게임 시장에서 소니와 닌텐도에게 뒤처지고 있지만 최근 게임시장에 NFT와 같이 메타버스 열풍 불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MS에게 기회로 다가왔습니다. 또한 빅테크 기업들이 VR기계와 게임을 접목시키면서 새로운 시장은 선점하기 위해 천문학 전인 금액을 퍼붓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들 속에서 메타버스에 강점을 가진 MS도 엑티비.. 비즈니스 및 교육 2023. 6. 28.
엔저 현상 원인, 일본의 경제, 무역 영향 엔저 현상의 원인을 알아보고, 엔화 평가절하가 국내외로 어떤 영향을 줄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경제 전반과 기업 및 소비자에게도 어떻게 작용할지 전망에 대해서도 같이 확인하겠습니다. 엔저현상 원인 경제 요인, 국제 무역 역학 및 정부 정책을 포함하여 엔화 평가절하의 원인을 이해함으로써 엔화 하락을 주도하는 요인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엔화 평가절하가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환율 변동을 탐색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카테고리 원인 경제적 요인 엔화 평가 절하를 위한 통화 정책 결정 금리 차이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국제 무역 무역 불균형 통화 요인 통화 조작 환율 변동 정부 정책 및 개입 재정정책 통화 시장 개입 .. 비즈니스 및 교육 2023. 6. 24.
김정은 위독설이 주는 주식시장 영향 분석 CNN은 20일(현지시간)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장이 심혈관 시술을 받은 후 위독한 상황에 빠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곧바로 국내에서도 속보로 보도되면서 금일 장중에 코스닥이 -5%이상 급락하면서 600선까지 내려갔었습니다. 순식간에 하락했지만 곧바로 -1.42%까지 반등 후 마감했습니다. 왜 이런 뉴스 소식이 주가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의 지정학 리스크 확대 주식시장에서 가장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불확실성과 리스크입니다. 투자에 있어서 모두가 돈을 벌면 그 존재 자체가 정립이 안되는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불확실한 요소에 리스크를 감내한 결과가 수익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그 리스크로 인해 손해를 입을 수 있어 주식은 파도치는 바다 위에 떠다니는 배와 같습니다. 파도를 잘 올.. 비즈니스 및 교육 2020. 4. 21.
2008년 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발 금융위기 비교 저번 포스팅에서 다룬 국제 유가가 현재 증시하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습니다. 참고 : 【https://yhj1826.tistory.com/65】 코로나19 펜더믹 사태로 국제유가는 1991년 걸프전 이후로 장중 30% 폭락을 하였고 S&P500지수가 12거래일간 12% 하락으로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 이후 최악의 상황입니다. 코로나19에 저유가 우려까지 겹치면서 금융시장이 2008년 금융위기와 비교될만한 최악의 기록을 연일 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당시 금융위기와 현재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유사점1) 공포심 3월 10일자 블롬버그통신은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와 현재 상황의 공포심 정도고 맞먹거나 더 높다고 보도했습니다. 블롬버그통신은 "바이러스"라는 관점에서 보면 현재.. 비즈니스 및 교육 2020. 3. 27.
코로나19보다 더 중요한 세계증시 폭락의 원인 - 국제유가의 하락 세계 증시의 폭락 속에서 하락세를 지속하던 국내 증시가 24일 급등했습니다. 코스피는 사상 최대폭(8.6%)으로 상승하며 1,609.97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전날 무너진 1,500선을 건너뛰면서 1,600선까지 회복했고 코스닥도 8.26% 상승하여 480.40에 마감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반등 추세가 이어질지는 앞으로 큰 낙폭 하락에 대한 일시적 반등인지 관망을 해봐야 됩니다. 현재 세계 증시 시장 전체의 변동성이 커지고 코로나19로 인한 불안심리가 커져 주가 하락의 폭이 리먼브라더스보다 심하고 합니다. 그럼 왜 이런 상황이 발생했는지 배경과 이유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19 타격 1. 국내시장 세계보건기구(WHO)가 3월 11일 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pendemic)을 선언함으로써 한.. 비즈니스 및 교육 2020. 3. 25.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의 차이를 알아보자 3월 13일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개장 직후부터 동반 폭락하면서 시장 매매거래가 일시 중단됐습니다. 한국거래소는 이날 오전 9시 4분 1초 코스닥시장 급락에 따라 매매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1단계 서킷브레이커를 발동했고 이는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됨에 따른 것으로, 이후 20분간 코스닥시장의 매매거래가 중단됐습니다. 그리고 유가증권시장에도 이날 오전 9시 6분 2초에 유가증권시장의 프로그램 매도 호가 효력을 일시 정지하는 사이드카가 발동됐습니다. 이렇게 주식을 하면 종종 이러한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 발동으로 주식시장이 정전처럼 멈춰 버리는 경우를 종종 목격할 수 있었을 겁니다. 그러면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비즈니스 및 교육 2020. 3. 14.
공매도 폐지가 옳은 방법일까? 공매도의 모든 것 금융위원회가 3월 13일 임시 금융위를 열고 16일부터 9월 15일까지 6개월간 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시장 전체 상장종목에 대한 공매도를 금지하기로 의결했습니다. 이는 최근 코로나19 확산 사태로 폭락장이 이어지면서 공매도 세력이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이뤄진 조치입니다. 이러한 정부의 공매도 6개월 제한으로 공매도가 이슈화 되었습니다. 주식을 하는 분들은 쉽게 공매도란 용어를 쉽게 접했을 수 있었을 겁니다. 흔히 개미(개인투자자)를 힘들게 하는 나쁜 제도이기 때문에 투자 커뮤니티에서 폐지를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저 또한 주식 투자자 이기때문에 이러한 공매도 제도의 비판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 자세하게 공매도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다뤄보겠습니다. > 1. 공매도란 무엇인가.. 비즈니스 및 교육 2020. 3. 14.
금융 혁신의 아이콘 카카오 뱅크의 돌풍 전통적인 은행들이 최근 ICT 기술을 접목한 은행계의 돌연변이 카카오 뱅크의 등장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신 IT 기술들을 활용해 금융 소비자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세심하고 구현해 나가고 있는 카카오 뱅크의 횡보에 보수적이었던 전통 금융 기업들이 서둘러 카카오뱅크를 벤치마킹하고 있습니다. 한경비즈니스가 국내 금융업계를 선도해 나갈 '2020 파워 금융인 30'을 선정했는데 여기서 국내 금융권 최고경영자들 가운데 금융 담당 애널리스트, 국내 기업 재무 담당자의 설문을 거쳐 30명을 가려 뽑았습니다. 그 결과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조직을 안정화하고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이들의 이름이 대거 올러왔다. 그중에서 카카오뱅크 CEO 운호영 대표가 당당히 1위를 차지해 놀라움을 사고 있습니다. 금융.. 비즈니스 및 교육 2020. 3. 12.
글로벌 전자상거래 아마존 물류센터 투자 증가 국내 금융 투자 기업들이 최근 물류센터 투자에 공격적이다. 금융 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증권, 미래에셋대우, 하나금융투자, 이지스자산운영 등 대형 금융 투자 기업들은 미국과 유럽 내 아마존 물류센터를 공격적으로 인수하고 있습니다. 누가 물류센터를 사들이고 있나? 1. 삼성증권 그중에서 삼성증권이 가장 공격인데, 삼성증권은 10월 23일 미국계 운용사 AEW로부터 체코 프라하 공항 인근의 1800억 원대의 아마존 물류센터 인수를 완료했습니다. 해당 물류센터는 체코 유일의 아마존 물류센터로 아마존이 2030년까지 장기 임대차 계약을 하고 사용 중입니다. 그 외에도 삼성증권은 아마존 물류센터 3곳을 이미 인수했습니다. 2016년 영국 레스터 물류센터(2100억원) 2018년 독일 하노버(1100억원) 2019년.. 비즈니스 및 교육 2020. 3. 7.
코로나19 공포보다 무서운 세계 증시 불안 중국 우한에서 발발한 코로나 바이러스 공포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포는 세계 증시시장에도 반영이 되어 지난 38일간 한화 7000조 이상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일 블룸버그가 86개국 증시의 시총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2월 27일(이하 현지시간) 현재 이들 주요국의 증시 시총은 83조1576억달러(약 10경 1053조 원)로 코로나19 충격이 본격화하기 전 고점인 1월 20일(89조 1564억 달러)보다 5조 9988억 달러(6.73%) 줄었다. 한국 돈으로 환산하면 38일 만에 7290조원이 증발한 셈이다. 현지시간 28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57.28포인트, 1.39% 하락한 25,409.36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번 주 다우지수는 1.. 비즈니스 및 교육 2020. 3. 1.